- 글번호
- 113467
[공통] 일반대학원 「무한 가천 대학원 LAB FAIR」개최 안내
- 수정일
- 2025.10.02
- 작성자
- 일반대학원
- 조회수
- 325
- 등록일
- 2025.09.26
일반대학원에서 '무한 가천 대학원 LAB FAIR'를 개최합니다.
일반대학원(글로벌&메디컬 캠퍼스) 약 25개학과 86개 연구실에서 대학원 학과(전공) 및 연구실을 소개할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행사일시: 2025년 10월 29일(수), 13시~17시
▣ 행사장소: 가천대학교 비전타워 B구역 실내체육관
▣ 대상: 가천대학교 1~4학년 학부생 및 대학원 진학에 관심있는 자
▣ 주요내용 및 일정
구분 |
시간 |
세부내용 |
---|---|---|
포스터 전시 |
13:00 ~ 17:00 |
연구실별 포스터 전시 |
집중 상담 |
14:00 ~ 16:00 |
연구실별 집중 상담 시간 |
경품 추첨 |
16:30 |
애플워치1개, 에어팟2개 / 현장 추첨(추첨 시 현장 참석자만 수령 가능) |
※ Lab 상담 1회 완료 학생 대상, 만족도 조사 및 간단한 확인 절차를 거쳐 스타벅스 1만원 기프티콘 증정(500명 한정). 소진 시 소정의 기념품 증정(한정수량)
※ Lab 상담 1회 완료 시 경품 응모권 1개 지급, 응모권 개수만큼 경품 응모 가능(최대 3개)
▣ 문의처: 일반대학원 행정실 (031-750-4742, 5666)
▣ 참여 연구실 정보
대학원학과명 |
지도교수 |
연구실명 |
연구실 주요 연구분야 |
연구실 연락망 |
---|---|---|---|---|
반도체공학과 |
윤홍준 |
다기능 소재 & 에너지 응용 연구실 |
다양한 소재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연구 |
yoonhj1222@gachon.ac.kr |
이상렬 |
가천 반도체 첨단 연구소(GAIST) |
뉴로모픽 반도체, 투명전극, EC 물질, 고성능 TFT등 차세대 반도체 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모든 공정이 LAB안에서 이루어지는 All in One LAB입니다. |
sylee2020@gachon.ac.kr |
|
이수길 |
미래자성메모리연구실 |
우리 연구실은 현재 삼성전자 및 TSMC에서 양산중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인 자성메모리(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를 위해 초고진공 스퍼터링시스템, 소자공정장비, 소자의 전자기적 특성측정 장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031-750-5564 |
|
이주열 |
아날로그 집적회로설계 |
고해상도 저전력 집적회로 설계, 전력관리회로설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설계, 인센서 컴퓨팅 시스템 설계 |
won0906@gachon.ac.kr |
|
진강태 |
Thin-film interconnects and Packaging Lab |
첨단 패키징, 첨단 반도체, 소재, 공정, 시뮬레이션 |
gjin@gachon.ac.kr |
|
전자공학과 |
민경식 |
차세대통신시스템연구실(Advanced Communicaiton System Lab) |
1)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 설계, 모델링, 및 성능 분석 (6G 이동통신 시스템, 위성 통신, IoT 시스템) 2) AI 기반 통신 및 신호 처리 기술 개발 (AI 기반 다중안테나 신호처리, AI 기반 위치 추정) |
031-750-5812 |
정보보호학과 |
김태규 |
Autonomous Cybersecurity in Military Weapon Systems Lab |
Cyber Electronic Warfare, Breach and Attack Simulation, Automated Penetration |
031-750-5796 |
박기성 |
Information Security & Privacy Lab. |
정보보호 및 프라이버시 연구실은 블록체인 보안, AI 보안, 메타버스 보안,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등 핵심 원천 보안 기술 및 응용 보안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
kisung@gachon.ac.kr |
|
서정택 |
CPS보안연구센터 |
사이버보안, 국가기반시설 제어시스템 보안, 차세대인프라(스마트시티, 스마트팩토리, 스마트그리드, 스마트선박, 항공우주 등) 보안, 원자력발전소 사이버보안 등 |
cpss@gachon.ac.kr |
|
이석준 |
지능보안 및 암호연구실 |
양자내성암호(PQC), 암호프로토콜, 제로트러스트, 국가망보안체계(N2SF), 보안 아키텍처, 사이버보안 프레임워크, O-RAN 보안 |
031-750-4757 |
|
이태진 |
Security Intelligence Lab. |
Agentic AI 기반 보안기술, Human-AI Collaboration, LLM 취약성 안전성 수준평가, Privacy |
031-750-5795 |
|
전승호 |
소프트웨어 보안성 평가 연구실 (Software Security Assessment Lab; SSA Lab) |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취약점 분석, 자동화 테스팅 기법 연구 |
031-750-5700 |
|
스마트시티 |
여지호 |
CAMUS (Computational Analysis of Mobility and Urban Systems) |
1. 시뮬레이션 및 디지털트윈 기반 모빌리티 시스템 평가 |
jihoyeo@gachon.ac.kr |
AI·소프트웨어 |
안종현 |
VIP-Lab. (지능형 차량 인지 연구실) |
VIP-LAB은 로봇과 자율주행의 ‘눈과 두뇌’를 만드는 연구실로, 로봇비전을 활용한 객체 인식·추적, 주행 가능 영역 탐지, 딥러닝·SLAM 기반 정밀지도 생성 등을 연구하며 미래 모빌리티 핵심 기술을 탐구하는 연구실 입니다. |
031-750-5332 |
엄광현 |
AIMHI Lab (AI in Medical Imaging |
1. 종양 진단 및 예후 예측 (Diagnosis and Prognosis in Oncology) : AI 기반 질환 진단, 예후 예측, 종양 및 장기 분할 Assistance): 다중 위상 CT/MRI 재구성, 3D 모델링, 수술 계획 지원 3. 파운데이션 모델과 다중모달 학습 (Foundation Models and Multimodal Learning): 영상·병리 파운데이션 모델, 비전–언어 융합 기반 정밀의료 |
031-750-8850 |
|
이상웅 |
패턴인식 및 기계학습 연구실 |
PRML 연구실은 AI 핵심 기술과 실질적 응용을 추구합니다. 평생학습, 연합학습, 뇌과학 기반 AI 등 차세대 인공지능 기법을 연구합니다. 모델을 개발, 이종 모달리티의 BCI 데이터 기반 치매 분석, 이질적 의료 영상을 활용한 희귀 질환 영역 분석과 데이터 생성, 보청기 음성 강화를 위한 소음 제거, 분산 데이터 복원을 위한 연합 데이터 합성, AR 기반 대테러 전투원 지원, 병독성 생물학적 유해인자 판별을 위한 단백질 분석 등 폭넓은 응용 분야를 다루고 있습니다. |
031-750-6918 |
|
이주형 |
iMES |
iMES 연구실(intelligent Mobile & Edge Systems Lab-지능형 모바일 및 엣지 시스템 연구실)은 지능형 에이전트, 6G, 엣지 클라우드 컴퓨팅, 연합 학습, IoT, 멀티모달 AI, 양자 네트워크 보안 등 미래의 분산 지능형 시스템을 연구합니다. 실시간 협업·학습·의사결정을 위한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차세대 인공지능 시스템 설계를 선도합니다. |
031-750-6968 |
|
조풍진 |
금융데이터사이언스 연구실 |
금융AI |
031-750-5353 |
|
최재용 |
iRASC Lab. (지능형 로봇 연구실) |
iRASC 연구실은 Physical AI, 지능형 로봇, LLM Agent, Robot Vision, 그리고 Multi-modal AI를 연구하며 차세대 인공지능과 로보틱스 융합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
031-750-8667 |
|
IT융합공학과 |
이강윤 |
Cognitive Computing Lab |
헬스케어 인공지능, 연합학습 프레임웍, 연합학습 LLM, AI Agent 연구 |
031-750-8902 |
조영임 |
인공지능 및 스마트시티 연구실 |
AI알고리즘 및 모델, 멀티에이전트, 스마트시티, AI 표준 |
031-750-5800 |
|
최창 |
지능형정보처리 연구실 (IIP Lab) |
IIP 연구실은 설명 가능한 범용 인공지능(XAGI)의 핵심 코어 기술인 멀티모달 AI, 지식추론 AI, 생성형 AI를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딥페이크 탐지, 의미 기반 영상 이해, 의료 보고서 생성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
031-750-8822 |
|
차세대스마트 에너지시스템 융합학과 |
김현식 |
전력변환시스템연구실 |
-전력 전자 : 에너지 변환을 위한 전력전자 시스템 설계 및 제어 |
031-750-6969 |
손성용 |
SERI 스마트에너지시스템융합연구소 |
에너지신산업 |
031-750-8653 |
|
손성용 |
스마트에너지시스템융합연구소 |
에너지 신산업을 중심으로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전환 관련 분야에서 기술-경제를 기반으로 새로운 BM, 정책과 운영기술을 연구 |
031-750-8653 |
|
한의학과 |
송명재 |
유전자교정연구실 |
CRISPR 유전자가위 기술 개발 및 유전자치료제 개발 |
032-899-6313 |
바이오로직스 학과(M) |
박정훈 |
Bio-CMC lab |
Biologics는 생물학적제제(바이오의약품)를 의미하며, CMC는 Chemistry, Manufacturing, and Control의 약자로 의약품이 연구개발 단계에서 임상/허가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전반적인 과정(개발, 제조, 품질 관리)에서, 제품이 규제 기준을 충족하고 안정적으로 제조/생산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분야입니다. Bio-CMC lab은 다양한 바이오의약품 및 바이오소재들을 공학적/규제과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상용화를 위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
032-820-4934 |
안준기 |
나노바이오센싱 바이오소재연구실 |
체외진단,핵산공학,바이오소재 |
ninehyo92@gachon.ac.kr |
|
약학과 (M) |
김민경 |
분자 안정성 및 구조연구실 |
단백질 항상성을 유지하는 생체 분자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구조 생물학적 (Cryo-EM, X-선 결정법), 생물물리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함. |
032-820-4953 |
서승용 |
의약화학 |
저분자 신약 후보물질 개발 |
032-820-4949 |
|
신동윤 |
의약화학-신약개발 연구실 |
본 연구실은 저분자 신약후보물질 도출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합성유기화학을 기반으로 심약유효물질의 도출 및 의약화학적 구조 최적화 연구를 통하여 신약후보물질을 도출합니다. |
032-820-4945 |
|
의생명과학과 |
강동우 |
나노의학연구실 |
나노입자와 줄기세포 기반 약물전달체를 활용해 난치성 염증성 질환(암·관절염 등)에 적용하고, 표적 치료와 광열 치료를 결합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개발하고 있음 |
032-899-6431 |
김지미 |
CANCERnA lab |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환에서, RNA binding protein과 RNA regulatory element 들에 의한 유전자 발현 변화의 기전 규명과 이를 therapeutics로 적용시키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RNA를 therapeutic molecule로 이용하기 위해 RNA의 발현 및 전달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다. |
032-899-6244 |
|
류승원 |
중개면역학연구실 |
중개면역 선천면역 신장면역 |
swryu@gachon.ac.kr |
|
오병철 |
분자세포생화학 실험실 |
제2형 당뇨병, 지방간, 간섬유화, 인슐린 저항성 |
032-899-6047 |
|
이병길 |
분자구조연구실(BGLab) |
생체분자의 구조와 기능의 이해 및 질병 치료에 적용. Cryo-EM, X-ray 결정학, in silico 계산, 정제된 생체분자를 이용한 생화학, 생물리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여러 흥미로운 주제들을 탐구합니다. |
032-899-6662 |
|
정윤재 |
선천면역실험실 (Innate immunity Lab) |
아토피·건선 등 피부 면역질환과 비만 면역대사를 중심으로, 치료 전략을 연구함. |
032-899-6133 |
|
의생명과학과, 의학과 (M) |
김광민 |
신경모델개발연구실 |
뇌 오가노이드, BBB칩, BCSFB 모델 등을 이용하여, 신경과학 분야의 해결되지 못한 질문들에 대한 실험 및 이론적 탐구 |
032-899-6586 |
의학과 |
남승윤 |
Bioinformatics and |
인공지능, 생물정보학, 유전체의과학 |
032-460-2737 |
윤미섭 |
ACT lab (Advanced Cellular |
세포 신호전달·대사 조절·전임상 응용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근육 질환, 생식 건강, 백신 안전성을 위한 정밀의학적 치료 전략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키워드: 근육증강제 개발, mRNA 백신 부작용 기전 연구 및 치료제 개발, 여성 임신 연관 질환 기전 및 치료제 개발 |
032-899-6333 |
|
장근아 |
NeuroLab |
알츠하이머 치매와 파킨슨병을 포함한 퇴행성뇌질환의 병인기전 규명 및 치료제 개발 |
032-899-6445 |
|
홍인선 |
줄기세포 연구실 |
줄기세포, 조직공학, 조직 재생 |
032-899-6680 |
|
홍정희 |
이온채널생리학실험실 |
자가면역질환 및 분비관련 질환치료와 기능회복 연구수행. 세포막 수송체의 새로운 기전 및 기능을 관절변형 및 피부건선 질환에 적용하여, 각 타겟의 치료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연구를 진행중이다. 또한 세포 내 신호전달계인 칼슘신호전달 체계 및 이온수송체 단백질 조절을 통해 난치성 질환의 생리학적 기전 규명을 위한 연구를 수행중이다. |
032-899-6434 |
|
물리학과 |
양대호 |
DHLab |
양자광학, 단일 광자와 큐빗의 상호작용, 딥러닝 기반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단일 광자를 활용한 홀로그래피, 메타표면 및 회절소자 설계 |
031-750-5399 |
윤상문 |
전자현미경 및 분광법 연구실 |
수차보정 전자현미경 및 분광법을 이용하여 기능성 고체 물질의 원자 구조와 물성 사이의 상관 관계를 연구하는 연구실입니다. 또한 비정질 분석법, 점결함 분석법 등 새로운 전자현미경 분석법을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기도 합니다. |
031-750-5613 |
|
이우주 |
Lee Research Group |
시분해-광전자 분광학을 이용하여 양자물질의 전자상태를 연구함 |
031-750-5396 |
|
홍성인 |
ONE 1ab |
우리는 나노소재, 인공지능, 뉴로모픽 공학, 메모리 소자 및 응용, 플렉서블 나노전자 소자, 포토닉스, 집적회로, 센서 분야에서 기초 및 응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leo2001@gachon.ac.kr |
|
바이오나노 융합학과 |
김문일 |
바이오센서 및 나노의공학 연구실 |
나노자임 개발 및 응용, 바이오센서, 나노바이오기술, 의공학 기술 |
031-750-8563 |
박정환 |
피부공학실험실 |
저희 연구실은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한 경피 약물전달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으며, 백신, 바이오의약품,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 및 탐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쿼드메디슨, 연세대학교, 한림제약, VRI(Vaccine Research Institute)등 여러 기관 및 기업과의 공동연구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
sinbeen00@naver.com |
|
안성수 |
바이오나노연구원 세포연구실 |
알츠하이머 병과 파킨스병 병 등 신경 퇴행성 질병 연구 |
031-750-8591 |
|
한정연 |
미세유체연구실 |
우리 연구실은 새로운 나노 약물전달시스템과 진단기술 개발을 주제로 3D프린팅, 미세유체역학,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폭넓은 연구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대학원생과 학부연구생(학년무관) 모두 환영합니다. |
031-750-8527 |
|
생명과학과 |
김주환 |
식물계통분류학연구실 |
식물분류·계통진화·생물지리 전반에 대한 연구 - 유전적 다양성과 진화 패턴의 탐구 및 약용 등 자원식물 탐사 |
hyeawon111@naver.com |
박종휘 |
신경종양연구실 (Neuro-Oncology) |
기초 및 중개 뇌종양 연구 (https: lab.researchwho.com neuonc ) https://lab.researchwho.com/neuonc/ |
jpark@gachon.ac.kr |
|
이두형 |
생태학 실험실 |
곤충학. 생태학. 동물행동학. |
jojo4511@gachon.ac.kr |
|
이상열 |
분자생화학연구실 |
미토콘드리아의 기능과 암세포의 에너지대사에 관한 연구 |
031-750-8732 |
|
식품영양학과 |
이해정 |
노화임상영양연구소 |
건강기능식품, 정밀영양, 오믹스메카니즘 규명 |
031-750-6910 |
화학과 |
김명종 |
Quantum Nano Chemistry Lab. |
Orchestrate B,C,N to find the new harmony! (Graphene, BNNT, CNT synthesis and application) |
|
송하영 |
무기합성연구실 |
촉매, 배터리, 반도체 전구체, 전자재료 등으로의 응용이 가능한 기존에 없던 주족원소 및 전이금속 화합물의 설계와 합성 그리고 분석 연구 |
031-750-5410 |
|
이충환 |
유기합성실험실 |
가시광촉매를 활용한 반응법 개발, 천연물 합성, 약리활성 물질의 합성 등, 유기화학을 기반으로 연구를 수행합니다. |
031-750-8826 |
|
한상윤 |
분석화학 연구실 |
초고분해능 비표적 질량 분석(untargeted mass spectrometry)을 기반으로, 나노 약물 전달체의 생체 내 거동과 식이 및 질병에 의한 생체 영향 등을 대사체학(metabolomics) 및 단백체학(proteomics) 관점에서 연구 |
zeusskye@gachon.ac.kr |
|
기계공학과 |
공민석 |
열유체-화재역학 연구실 |
인공지능 기반 화재 특성 예측, 화재 거동 분석 및 예측, 건축 설비 성능 향상 및 안전 운영 |
031-750-5715 |
박광진 |
Energy Convension & Storage Solution Lab(ECSS) 연구실 |
리튬이온이차전지 분야에서 양극 소재 개발 및 풀 셀 설계, 열폭주 현상 규명까지 전 부분을 연구하는 연구실입니다. |
031-750-6537 |
|
이대호 |
Laser & Thermal Engineering Lab |
레이저공학(레이저를 이용한 연구), 열공학(열 및 물질전달), 반도체 공학(반도체 소자 제작 및 반도체 공정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dhl@gachon.ac.kr |
|
임종경 |
EMP |
EMP 연구실은 |
031-750-5712 |
|
도시계획학과 |
최승비 |
CHOI Lab |
도시(City)와 주택(Housing)을 중심에 두고, 기회(Opportunity), 포용(Inclusion), 그리고 데이터(Open-data), 혁신(Innovation), 지능(Intelligence), 불평등(Inequality) 까지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우리 연구실은 도시와 주택의 미래를 탐구하며, 데이터와 정책을 통해 더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만들어가고자 합니다. |
031-750-5281 |
토목환경공학과 |
박슬아 |
지능형 공간정보시스템 연구실 |
공간 데이터 모델링, 공간 데이터 과학과 GIS, 지능형 공간분석 |
031-750-5336 |
송호민 |
스마트 센싱 및 비파괴검사 연구실 |
스마트 센싱 및 비파괴검사 연구실은 다양한 센싱 기술(초음파, 전자기파, 진동, 영상 등)을 활용해 도로, 교량 등 사회기반시설물의 상태를 정밀하게 진단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AI 기술을 활용해 센서 데이터 분석을 자동화하고,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도록 로봇 기반의 자율 센싱 기술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우리 연구실은 기술을 통해 사회의 안전을 지키고, 미래 도시의 스마트 인프라를 실현하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
031-750-5344 |
|
신재현 |
수리학연구실 |
본 연구실은 수리학 수자원공학을 다루며 건설환경 분야에서 발생하는 홍수 및 물관련 주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합니다. |
031-750-5498 |
|
유민택 |
지반방재연구실 |
내진 설계 수치해석 및 지반 방재 시뮬레이션 연구 |
khsss1026@gachon.ac.kr |
|
유성원 |
스마트첨단건설기술연구센터 |
신소재 신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시멘트계 재료 및 FRP를 구조물에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 |
031-724-4440 |
|
최영철 |
스마트첨단건설기술연구센터 |
스마트 콘크리트 재료 연구실은 신소재, 신기술 등을 접목한 새로운 시멘트계 재료 개발 및 구조물에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 |
031-724-4440 |
|
홍원택 |
지반공학연구실 |
지반조사장비 개발 및 지구물리탐사기법의 지반공학적 적용 |
031-750-5344 |
|
신소재공학과 |
김태영 |
다차원나노소재연구실 |
그래핀 기반 탄소 소재 합성 및 에너지 저장 장치 응용 연구 |
031-750-8528 |
한재희 |
나노시너지연구실 (NanoSynergy Lab) |
나노소재 합성 및 제어, 에너지 전기소자 전자기 물리 화학 생물학적 응용 연구 |
031-750-8689 |
|
화공생명공학과 |
김동찬 |
차세대 광전자소자연구실 (Advanced Optoelectronic Device Lab, AODL) |
1. 차세대 자유형상 디스플레이 |
031-750-5366 |
안용남 |
전산재료 및 계면공학 연구실 |
우리 연구실은 전산재료공학 및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에너지 및 디스플레이 관련 다양한 기능성 소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031-750-5592 |
|
이현종 |
생체재료공학연구실 |
생체재료공학 연구실은 화학적 생물학적 이해를 기반으로 조직공학, 생체치유, 제약, 화장품 등에 활용 가능한 생체재료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031-750-5595 |
|
배터리공학과 |
김근일 |
Next-generation Secondary Battery System Lab |
차세대 이차전지 핵심 소재 개발 |
031-750-8942 |
김용일 |
Energy Storage Systems and Materials(ESSML) lab |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 개발을 선도하는 연구실로, 리튬 밑 소듐이온배터리부터 해수전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전기화학적 에너지 변환 및 저장시스템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
yikim@gachon.ac.kr |
|
김일태 |
에너지기능성소재연구실(EFML) |
1. (배터리)산업에서 요구하는 배터리 성능 구현을 위한 소재 (음극재. 양극재, 전고체전해질, 바인더 등) 개발 |
031-750-8835 |
|
박진우 |
전기화학 기초 및 응용 연구실 (BEAR-LAB) |
전해질 기반 다양한 전기화학 소자 관련 연구 수행 (슈퍼커패시터, 배터리, 전기 변색 소자, 전기화학 액추에이터) |
031-750-5598 |
|
채오병 |
Chemistry of Batteries Laboratory |
저희 연구실은 차세대 이차전지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음극과 양극 그리고 전해질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홀딩스 등의 산업체 및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의 국가연구소와 긴밀한 협력을 하고 있습니다. |
obchae@gachon.ac.kr |
|
허재현 |
Functional Materials Lab for Energy and Environment |
에너지 환경 기능성 소재 연구실에서는 에너지 저장 및 변환과 환경 분야로의 응용을 위한 기능성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1) 리튱이온전지 적용을 위한 전극소재 및 전해질, 2) 차세대이차전지(나트륨, 수계아연전지, 전고체전지)를 위한 유무기 나노소재 개발을 주로 연구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에너지 및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
031-750-5593 |
|
허지윤 |
차세대 전기화학 응용 연구실 (NEAL) |
우리 연구실은 차세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연구하며, 탄탄한 이론적 기반과 실험적 접근을 결합해 독창적인 연구를 수행합니다. 특히 이차전지의 3대 핵심 소재이자, 전기화학 반응 환경을 규정하는 전해액을 깊이 있게 연구합니다. 실험부터 시뮬레이션까지 폭넓게 배우고 싶은 학생의 지원을 기다립니다. |
031-750-5357 |
|
경영학과 |
강승완 |
리더십 & 동기부여 연구실 |
1. 리더십 및 조직 관리: 차세대 리더십 (서번트 리더, 자기희생적 리더, 친환경 리더십 등), 하이브리드 근무 환경, 조용한 퇴사 2. 구성원 심리 및 웰빙 : 심리적 건강, 웰빙, 직무 스트레스, 번아웃, 수면부족, 일과 삶의 균형, 디지털 헬스케어 : ESG 경영 전략, 친환경 지속가능성, 조직 공정성, 투명성,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DEI) |
031-750-5152 |
심리학과 |
김빛나 |
Mood and Psychopathology (MaP) |
기분장애, 심리평가, 자기파괴적 행동 |
031-750-2664 |
-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