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보보호 주요 업무
스마트 보안학과를 졸업하면 다양한 보안 전문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정보보안 컨설턴트, 시스템 보안 관리자, 네트워크 보안 엔지니어, 침해사고 대응(CERT), 보안 솔루션 개발자, 악성코드 분석가, 보안 정책 수립 및 감사 담당자 등이 있습니다. 또한, 기업의 보안 운영센터(SOC), 디지털 포렌식 전문가, AI 기반 보안 기술 연구원 등으로도 진출할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 금융권, 대기업 IT 부서, 보안 전문 업체 등 다양한 산업군에 진입이 가능합니다. 최근에는 클라우드 보안, OT/IoT 보안 등 신기술 기반 분야로의 진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 주요 취업 분야
사이버보안분야
대기업:
삼성SDS, LG CNS, SK쉴더스, 한화시스템, KT, 네이버,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중견·중소기업:
윈스, 안랩, 시큐아이, 이글루코퍼레이션, 라온시큐어, NSHC, 파이오링크, 쎈스톤, 소프트캠프, 트리니티소프트, 지니언스, 엠엘소프트, 프라이빗테크놀로지, 파도, 78리서치, 테이텀, 컬쳐메이커스, 시큐어링크, 이스트시큐리티, 샌즈랩, 쏘마, 앰진, 엔키, 이로운앤컴퍼니
공공기관·연구소: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가보안기술연구소, 한국지역정보개발원, 국방부 사이버작전사령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금융보안원,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한국제로트러스트위원회, 한국제로트러스트보안협회
제어시스템 보안분야
대기업:
삼성중공업, 한국전력, 현대자동차, 포스코ICT, LS일렉트릭, 삼성엔지니어링, SK E&S, LIG Nex 1, SK하이닉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한항공, 한국항공우주산업주식회사
중견·중소기업:
S2W, 에스원, 휴네시온, 파수, 시큐레터, 오렌지시큐리티, 나온웍스, 오투원즈, 앤앤에스피, 지구루, 원텍, 쿤텍, 인트브릿지, 인피니티에코, 올포랜드, 포멀웍스, 스페이스앤빈, 컬처메이커스, 피플아이, 클라우드네트웍스, 소마, 에스엔시스, 씨넷, 마린웍스, 도구공간, 리얼리AI, 이롭, 무인탐사연구소, 에스오일, 효성, 소프트버스, 레드펜소프트, ICTK, 투씨에스지, 퓨쳐시스템, 카스퍼스키, 스마트엠투엠
공공기관·연구소: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지역난방공사, 국가보안기술연구소,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전력거래소, 한국남동발전, 한국동서발전, 한국남부발전, 한전KDN, 한국전력기술, 한국가스공사, 한국석유공사,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아이티평가원, 한국원자력 통제기술원, 한국선급, 한국철도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공단,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해운조합, 해군정보통신학교, 해군사이버작전센터, 한국수자원공사, 한국공항공사, 공군사이버작전센터, 세종시, 항공우주연구원, KAIST 사이버보안연구센터
인공지능 분야
대기업:
네이버 AI Lab, 카카오브레인, LG AI Research, 삼성리서치, SK C&C, 현대오토에버
중견·중소기업:
업스테이지, 뷰노, 솔트룩스, 스켈터랩스, 딥센트, 루닛, 마인즈랩
공공기관·연구소:
AI혁신허브,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컴퓨터공학 분야
대기업:
삼성전자, LG전자, 네이버, 카카오, 쿠팡, NHN, SK텔레콤
중견·중소기업:
다날, 비바리퍼블리카, 직방, 뱅크샐러드, 뤼이드
공공기관·연구소: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NDSL,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조달청, 통계청 등 공공 개발부서, 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